728x90

전체 글 71

『심리학 원리』 '의식의 흐름(stream of thought)'이 문학에 미친 영향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가 제안한 '의식의 핵(nucleus)'과 '주변(fringe)' 개념은 20세기 문학의 서술 기법과 주제 탐구에 혁명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의 이론은 인간 의식의 복잡성을 문학적 형식으로 구현하는 데 결정적 토대를 제공했습니다. 핵(nucleus)과 주변(fringe)의 정의제임스는 1890년 『심리학 원리』에서 의식을 "끊임없이 흐르는 강"으로 비유하며, 의식의 두 층위를 정의했습니다:핵(nucleus): 현재 집중하는 사고나 감각(예: 책의 문장).주변(fringe): 맥락, 분위기, 예감 등 명확히 포착되지 않는 주변적 요소(예: 문장이 주는 미묘한 감정).이 '주변'은 맥락을 제공해 핵의 의미를 완성하며, "의미의 저장소" 역할을 합니다. 제임스는 "의식..

Book 📚 2025.05.04

마르셀 프루스트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 '마들렌'과 '의식의 흐름'

마르셀 프루스트(Marcel Proust, 1871-1922)는 20세기 프랑스 문학을 대표하는 소설가이자 평론가로, 7부작 장편소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À la recherche du temps perdu)를 통해 문학사에 혁명적 변화를 일으켰습니다. 그의 작품은 시간, 기억, 예술의 본질을 탐구하며 현대 문학의 지평을 넓혔습니다.프루스트의 삶과 작품의 관계프루스트는 1871년 파리 오퇴유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아버지 아드리앵 프루스트는 저명한 위생학 교수이자 신경학자였으며, 어머니 잔 베유는 유복한 유대인 가문 출신이었습니다. 그는 9세부터 천식을 앓았으며, 이는 당시 '신경쇠약'으로 분류되던 질환이었습니다. 아버지의 영향으로 신경학자 에두아르 브리소, 폴 솔리에 등과 교류하며 치료를 시도했..

Book 📚 2025.05.04

인류의 진보를 위한 영원한 유산, "노벨상"

노벨상 수여 부문과 운영 체계노벨상은 1901년부터 물리학, 화학, 생리의학(의학), 문학, 평화 등 다섯 개 부문에서 수여되기 시작했다. 1969년에는 스웨덴 중앙은행이 경제학상을 추가로 제정해, 현재는 여섯 개 부문에서 시상이 이루어진다. 각 부문별 수상자는 다음 기관에서 선정한다.물리학, 화학: 스웨덴 왕립과학원(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es)생리의학: 카롤린스카 연구소(Karolinska Institutet)문학: 스웨덴 아카데미(Swedish Academy)평화: 노르웨이 노벨위원회(Norwegian Nobel Committee)경제학: 스웨덴 왕립과학원노벨재단은 상금의 기금 운용, 시상식, 수상자 선정 지원, 홍보 등 전반을 관리한다. 초기에는 스웨덴 국채 등 안..

『인간실격(人間失格, No Longer Human)』 다자이 오사무

줄거리『인간실격(人間失格, No Longer Human)』은 주인공 오바 요조의 자전적 기록을 중심으로, 인간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점차 파멸로 치닫는 한 남자의 내면을 그린 소설이다. 이야기 구조는 '서문', '본편', '후기'로 나뉜다. 서문에서 화자는 세 장의 수기(手記)를 발견했다고 밝히고, 본편은 요조의 1인칭 시점에서 펼쳐진다. 후기에서는 다시 서문 화자가 등장해 요조의 최후를 언급한다. 요조는 어릴 적부터 자신이 타인과 다르다는 이질감을 느끼며, 진정한 감정을 숨기기 위해 광대처럼 행동한다. 그는 인간관계에서 불안과 두려움을 극복하지 못하고, 술과 약물, 여성에 의존한다. 요조는 여러 번 자살을 시도하지만 실패하고, 점차 사회에서 소외되어 간다. 마지막에는 알코올 중독과 정신적 붕괴로 인해..

Book 📚 2025.05.03

다자이 오사무(太宰治, 1909-1948): 일본 근대문학의 비극적 아이콘

출생과 가족사다자이 오사무(太宰治, 1909-1948)는 본명 쓰시마 슈지(津島修治)로, 일본 아오모리현 북부의 쓰가루 지방에서 태어났다. 그는 10남매 중 여섯째 아들로, 지역에서도 손꼽히는 대지주이자 정치가인 아버지의 부유한 가문에서 성장했다. 다자이의 아버지 쓰시마 겐지는 일본 제국의회 의원이자 지역 유지로, 가족은 경제적·사회적으로 특권층에 속했다. 그러나 어머니 다네는 병약해 어린 다자이를 직접 돌볼 수 없었고, 그는 유모와 숙모, 네 명의 누나, 그리고 가정교사에게 둘러싸여 성장했다. 아버지는 1923년 사망했고, 장남 분지가 가문의 가장 역할을 이어받았다. 청년기와 방황다자이는 1930년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도쿄제국대학 불문과에 진학했다. 이 무렵, 고향에서 알게 된 견습 게이샤 오야마 하..

알프레드 노벨(Alfred Nobel): 과학과 인류애의 경계에서, 노벨상 설립의 배경

출생과 가문알프레드 노벨(Alfred Nobel)은 1833년 10월 21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이마누엘 노벨(Immanuel Nobel)은 발명가이자 엔지니어였고, 어머니 안드리에테 알셀(Andriette Ahlsell)은 부유한 집안 출신이었다. 노벨 가문은 17세기 스웨덴의 저명한 의사이자 과학자, 학자였던 올라프 루드벡(Olof Rudbeck the Elder)에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다. 루드벡의 딸이 피터 올라이 노벨리우스(Peter Olai Nobelius)와 결혼하면서 노벨 가문이 시작되었고, Nobelius라는 라틴어식 성이 Nobel로 바뀌었다.노벨의 어린 시절은 순탄치 않았다. 그가 태어난 해에 아버지는 파산을 겪고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로 건너가 군수품과 증..

Book 📚 2025.05.03

2025년 ‘알쓸별잡': 지중해, 유럽 4개국 10개 도시를 누비는 지적 수다 여행

2025년 tvN ‘알쓸별잡’(알아두면 쓸데없는 지구별 잡학사전)은 “지중해”를 테마로 한 새로운 시즌으로 돌아왔습니다. 이번 시즌은 기존 ‘알쓸’ 시리즈 중 가장 넓고 깊어진 수다, 그리고 역대 최다 분야의 전문가들이 함께하는 대규모 지식 여행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프로그램 포맷과 기획 의도‘알쓸별잡: 지중해’는 “지구 한가운데 바다”라는 의미를 가진 지중해를 무대로, 크루즈를 타고 유럽 4개국 10개 도시를 여행합니다. 이탈리아 로마, 시칠리아, 제노바, 스페인 바르셀로나, 프랑스 마르세유, 몰타 등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 쉬는 도시들을 직접 방문하며, 각 도시의 건축, 과학, 우주, 자연사, 인문, 문학 등 다양한 주제를 전문가들이 각자의 시각에서 풀어냅니다.이번 시즌의 가장 큰 특징은 “최다 인원..

News 🚨 2025.05.03

헤르만 헤세 『싯다르타』: 깨달음을 향한 영혼의 여정

헤르만 헤세의 『싯다르타(Siddhartha)』는 1922년 독일에서 발표된 이후, 20세기 영미권과 독일권을 중심으로 전 세계 독자들에게 깊은 영적 울림을 남긴 소설입니다. 이 작품은 인도의 고대 브라만 청년 싯다르타의 깨달음 여정을 그리면서, 동서양 종교와 철학, 인간 내면의 성장과 자아실현, 그리고 삶의 통합이라는 보편적 주제를 탐구합니다. 1. 줄거리 요약싯다르타는 고대 인도 브라만(힌두교 사제계급) 집안의 총명하고 아름다운 아들입니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명상과 금욕, 경전 공부에 뛰어났으나, 기존의 종교적 가르침에서 근본적인 해답을 찾지 못합니다.친구 고빈다와 함께 집을 떠나 사마나(고행 수도자) 집단에 들어가 극단적 금욕과 자기부정, 명상 수련에 몰두하지만, 이 역시 내면의 공허를 해소해주지..

Book 📚 2025.05.02

헤르만 헤세(Hermann Hesse, 1877–1962) 영원한 성장소설의 거장

1. 생애와 가족사헤르만 헤세는 1877년 7월 2일 독일 남서부 슈바벤 지방의 칼브(Calw)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아버지 요하네스 헤세(Johannes Hesse)는 에스토니아 출신의 발트-독일계 목사이자 신학자였고, 어머니 마리 군데르트(Marie Gundert)는 인도에서 태어난 선교사 집안 출신이었습니다. 외할아버지 헤르만 군데르트(Hermann Gundert)는 인도 말라얄람어 문법서와 사전을 집필한 언어학자이자 선교사로, 헤세의 어린 시절부터 동양 문화와 언어, 종교에 대한 관심을 일깨워주었습니다.헤세는 다문화적이고 신앙심 깊은 가정에서 자랐지만, 엄격한 피에티즘(경건주의)적 분위기와 부모의 높은 기대는 그에게 일찍부터 내적 갈등과 반항심을 심어주었습니다. 그는 다섯 남매 중 셋째로 태어났..

프랑수아즈 사강(Françoise Sagan), 『브람스를 좋아하세요...』 제목의 의미

프랑수아즈 사강(Françoise Sagan)의 『브람스를 좋아하세요...』(Aimez-vous Brahms?, 1959)는 20세기 프랑스 문학을 대표하는 심리소설이자, 여성의 자아와 사랑, 나이듦, 고독, 그리고 자유에 대한 깊은 통찰을 담은 작품입니다. 이 소설은 사강의 생애와 문학적 개성, 프랑스 사회의 변화, 그리고 클래식 음악이 상징하는 감정의 풍경까지 복합적으로 얽혀 있어, 발표 이후 전 세계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습니다.1. 프랑수아즈 사강프랑수아즈 사강(본명 프랑수아즈 쿠아레즈, 1935~2004)은 프랑스 남부 카자르크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책을 사랑했고, 파리의 명문 가톨릭 학교와 스위스의 기숙학교에서 교육받았습니다. 소르본 대학에 진학했으나 학업보다는 문학에..

Book 📚 2025.05.0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