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

실존주의 철학자들과 주요 개념

jsoo🩷 2025. 5. 5. 22:27
728x90

실존주의

1. 실존주의란 무엇인가

실존주의(Existentialism)는 19세기 중엽 덴마크의 키에르케고르와 독일의 니체에서 시작되어, 20세기 유럽을 중심으로 발전한 철학적·문학적 흐름이다. 실존주의는 인간의 자유, 책임, 주관성, 그리고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삶의 경험을 강조한다. 실존주의자들은 인간이 단순히 생각하는 존재가 아니라, 행동하고 느끼며, 스스로 자신의 삶에 의미를 부여하는 주체임을 주장한다.

실존주의의 핵심 명제는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Sartre)”는 것으로, 인간은 미리 정해진 본질이나 목적 없이 먼저 존재하고, 이후 자신의 선택과 행동을 통해 본질을 만들어간다고 본다. 이는 데카르트의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라는 이성 중심주의를 전복하고, “나는 존재한다”는 실존의 우선성을 강조한다.

2. 대표적 실존주의 철학자

이름 국적 활동시기 주요 개념 및 특징
쇠렌 키에르케고르(Søren Kierkegaard) 덴마크 1813~1855 실존의 주관성, 진정성, 신앙의 도약, 개인의 책임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Nietzsche) 독일 1844~1900 초인(Übermensch), 가치 창조, 영원회귀, 허무주의
마르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 독일 1889~1976 현존재(Dasein), 세계-내-존재, 죽음에의 선취, 불안
장 폴 사르트르(Jean-Paul Sartre) 프랑스 1905~1980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 자유와 책임, 타자, 악의 신앙
시몬 드 보부아르(Simone de Beauvoir) 프랑스 1908~1986 타자성, 여성의 실존, 자유와 억압, 윤리적 실존
알베르 카뮈(Albert Camus) 프랑스/알제리 1913~1960 부조리(Absurd), 반항, 자살 문제, 인간 조건
가브리엘 마르셀(Gabriel Marcel) 프랑스 1889~1973 유신론적 실존주의, 신앙, 희망, 만남
카를 야스퍼스(Karl Jaspers) 독일 1883~1969 한계상황, 초월, 실존적 소통, 철학적 신앙

이외에도 도스토옙스키, 프란츠 카프카, 모리스 메를로퐁티, 마르틴 부버, 루트비히 빈스방거 등도 실존주의적 사유를 전개했다.

728x90

3. 실존주의의 주요 개념

  • 실존(Existence): 인간은 먼저 존재하고, 자신의 선택과 행동을 통해 본질을 만들어간다. 실존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하고 열려 있는 가능성이다.
  • 본질(Essence): 사물이나 개념의 고정된 특성. 실존주의는 인간에게는 본질이 선험적으로 주어지지 않는다고 본다.
  • 자유와 책임: 인간은 자신의 삶에 대해 전적으로 자유롭고, 그 선택에 대해 책임져야 한다.
  • 주체성: 각 개인의 주관적 경험과 내면의 진정성을 강조한다. 사회, 제도, 이념보다 개인의 실존이 우선한다.
  • 불안과 허무: 인간은 의미 없는 세계에 내던져져 불안과 허무를 경험하지만, 이를 직시하고 자기 삶의 의미를 창조해야 한다.
  • 부조리(Absurd): 카뮈가 강조한 개념으로, 인간의 의미 추구와 무의미한 세계의 충돌에서 비롯되는 근본적 모순이다.
  • 타자성: 보부아르와 사르트르가 강조한 개념으로,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자기 실존이 규정됨을 의미한다.
  • 신앙의 도약: 키에르케고르는 이성으로는 도달할 수 없는 신앙의 결단을 실존의 한 형태로 보았다.

4. 실존주의의 의의와 영향

실존주의는 20세기 유럽의 전쟁, 사회적 혼란, 전통적 가치의 붕괴 속에서 인간의 불안, 절망, 자유, 책임, 의미 창조의 문제를 철학적으로 조명했다. 이 사상은 문학, 예술, 심리학, 신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주었으며, 인간 실존의 조건과 한계, 가능성에 대한 깊은 성찰을 남겼다.


실존주의는 인간이 미리 정해진 본질 없이 먼저 존재하며, 자유로운 선택과 책임을 통해 자기 삶의 의미를 창조한다는 사상이다. 주요 철학자에는 키에르케고르, 니체, 하이데거, 사르트르, 보부아르, 카뮈 등이 있으며, 실존, 자유, 책임, 불안, 주체성, 부조리 등의 개념이 중심을 이룬다.

728x90
반응형